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텍사스 주간 고속도로 통행료 비싼 편

 텍사스 주내 주간 유료 고속도로(interstate toll roads)의 승용차 기준 마일당 평균 최대 통행요금(maximum passenger vehicle fees per mile)이 전국에서 7번째로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대출업체 ‘렌딩트리’(LendingTree)가 미국내 24개주를 대상으로 연방 고속도로 관리국(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FHWA)의 관련 데이터를 토대로 주간 유료 고속도로 각 주별 구간 마일당 평균 최대 통행료(승용차 기준)를 계산해 비교한 결과, 텍사스는 66센트로 전국에서 7번째로 비쌌다. 주 경계를 넘는 시스템의 일부인 주간 고속도로 통행료를 계산하기 위해 렌딩트리의 연구진은 승용차의 최대 요금을 유료 시설의 길이(마일)로 나누었다. 승용차에 대한 최대 요금이 있는 도로만을 대상으로 했으며 최대 요금이 명시되지 않은 시설과 국제(international) 도로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텍사스는 주간 고속도로 통행료 시설별 마일당 최대 승용차 요금 톱 10(10 highest maximum passenger vehicle fees per mile by interstate road toll facility)에서도 LBJ 익스프레스(I-35 E Managed Lanes)가 2.28달러로 미전국에서 6번째로 비쌌다. 조사대상 24개주 가운데, 주간 고속도로의 각 주별 구간 마일당 평균 최대 통행료(승용차 기준)가 가장 비싼 주는 버지니아로 3.27달러에 달했다. 이어 펜실베니아가 1.73달러, 메인 1.56달러, 캘리포니아 1.38달러, 콜로라도(1.36달러)의 순으로 톱 5를 기록했다. 6~10위는 워싱턴(71센트), 텍사스(66센트), 미네소타(63센트), 뉴욕(58센트), 조지아(49센트)의 순이었다. 이에 비해 유타주는 3센트로 가장 낮았으며 매사추세츠(7센트), 인디애나(8센트), 뉴햄프셔와 웨스트 버지니아주(14센트)가 그 뒤를 이었다.   주간 고속도로 통행료 시설별 마일당 최대 승용차 요금 톱 10 중 전국 1위는 펜실베니아주의 뉴저지&펜실베니아 턴파이크 다리로 8.20달러에 달했다. 2위는 5달러에 달한 메인주의 메인 턴파이크(스카보로 I-95~포틀랜드 I-295 구간)였고 3위는 버지니아주의 I-66 급행 차선(4.75달러), 4위는 메인주의 메인 턴파이크(팔머스 I-296/2.38달러), 5위는 콜로라도주의 70번 고속도로 동쪽방향 급행차선(2.31달러)이었다. 한편, 자동차 보험 전문가들은 높은 통행료는 상당수 운전자들의 가계 예산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안타깝게도 재정적으로 넉넉지 않은 주민들이 이러한 비용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   손혜성 기자고속도로 텍사스 고속도로 통행료 주간 고속도로 유료 고속도로

2024-11-11

유색인종 희생으로 건설된 시카고 고속도로

고속도로를 타고 오헤어공항에서 시카고 다운타운으로 진입하다 보면 오른쪽으로 오래된 교회 하나가 보인다. 노스와 디비전길 사이 애쉴랜드길 인근에 위치한 이 교회는 세인트 스타니슬라우스 코스트카 교회로, 폴란드인들이 다니는 교회다. 직선으로 뻗어가던 고속도로가 이 교회로 인해 우회하는 모양을 갖게 됐는데 이는 시카고 고속도로 건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때는 195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연방 정부는 물류 운송과 교통 정체 개선 등을 위해 주간 고속도로 건설을 대대적으로 추진하고 있었다.     시카고 역시 1909년 시카고 플랜 당시부터 시카고와 외곽 지역을 연결하는 대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연방 정부가 90%까지 재정 지원을 하는 주간 고속도로 건설에 적극 참여하고 있었다.     문제는 왕복 8차선의 고속도로에 중간에 가변 차선까지 있는 고속도로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400피트 넓이의 땅을 수용해야 했다. 한 블록에 해당하는 면적을 확보해야 가능한 큰 공사였기 때문에 해당 도로 상에 이미 거주하고 있었던 주민들을 다른 곳으로 강제 이주시킬 수밖에 없었다. 또 일부 정치인들의 개입으로 인해 본인 지역구와 유색 인종 밀집 지역을 고속도로로 분리하는 정책이 시행되기도 했다.     결국 숫자가 적고 정치력이 없었던 유색 인종들이 삶의 터전을 빼앗기는 결과가 나왔다.     1950년대말과 1960년대 초까지 진행됐던 댄 라이언 고속도로 건설로 인해 1만2000명의 흑인 주민들이 강제 이주되는 등 총 8만1000명이 고속도로 건설로 이주해야 했다. 이 가운데 64%는 흑인이었는데 당시 흑인 주민은 시카고 전체의 23%였다.   아이젠하워 고속도로 건설로도 1만3000명의 주민들과 400곳의 상점이 강제 이주됐다. 주로 웨스트 가필드 파크 지역이 큰 타격을 받았는데 이 곳은 당시 유태인 주민들이 대거 거주하고 있던 곳이었다.   결국 시카고의 교통 흐름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고속도로 건설에는 유색인종 등의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여기서 예외는 세인트 스타니슬라우스 코스트카 교회다. 이 교회는 70만개의 주민 탄원서를 얻어 정부에 제출하면서 고속도로가 교회를 우회할 수 있도록 했다.  Nathan Park 기자유색인종 고속도로 시카고 고속도로 고속도로 건설 주간 고속도로

2024-02-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